티스토리 뷰

건강보험료 환급

건강보험료 환급 국민연금 미환급금

모르면 나만손해 건강보험료 환급 국민연금 미환급금 꼭 찾으세요..
건강보험료와 국민연금보험료를 모두 내면서, 이 금액 중 환급금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만약 과오납부한 환급금이 있다면 한번 확인해보세요.

 

건강보험료 환급



올해 지난해보다 의료비를 더 부담한 분들께서는 내일(24일)부터 1인당 평균 136만 원을 돌려받을 수 있게 됩니다. 이 금액은 2022년 본인부담상한액이 확정되면서 상한액 초과금으로 지급되는 금액입니다.

본인부담상한액은 비급여, 선별급여 등을 제외하고, 환자 본인이 부담하는 의료비 총액(본인부담금)이 개인별 상한금액(81만~584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 금액을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지난해 기준 174만 9831명이 이 제도를 사용해 모두 2조 3,860억 원을 받았습니다.

본인부담상한액 최고액인 584만 원을 초과한 23만 1563명은 이미 6418억 원을 받은 상태입니다. 이에 따라, 151만 8,268명분 1조 7,442억 원은 개별 신청을 받아 지급할 예정입니다.

건강보험공단은 환급 대상자에게 본인부담 상한액 초과금 지급신청 안내문을 차례로 발송할 예정입니다. 안내문을 받은 지급대상자는 인터넷, 팩스, 전화, 우편 등을 통해 건강보험공단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은 공단 홈페이지 The건강보험’ 애플리케이션, 전화(1577-1000)를 통해 할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료 환급

 

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찾기 및 환급받기

 

보험료 과오납 환급금이란 보험료가 이중납부 또는 착오납부되거나, 정상적으로 부과·고지되었으나 자격의 소급 상실 및 부과자료의 소급 감액조정으로 인하여 발생한 금액입니다. 이러한 경우, 보험사는 고객에게 해당 금액을 돌려줘야 합니다. 그러나 환급금은 납부할 보험료 등에 충당될 수 있어, 신청시점에 따라 안내된 금액보다 작거나 지급액이 없을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료 환급



최근 병원 또는 약국에서 법령 기준을 초과해 더 받은 본인부담금이 지난 10년간 7000억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건강보험 미환급금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 미환급금 정보는 건강보험료 과오납금, 본인부담금 환급금, 본인부담액 상한액 초과금, 기타징수금 과오납환급금 등 총 4종으로 일괄 조회가 가능합니다.

지난 10년간 본인부담금환급금 발생 건수는 총 3979만 5224건이고, 이로인해 발생한 환금급 규모는 6833억 6689만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본인부담금환급금 제도를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본인부담금환급금 지급은 병의원 또는 약국이 법령의 기준을 초과해 더 받은 본인 부담금을 공단이 요양기관에 지급할 진료비용에서 공제하거나 징수하여 진료를 받은 분이나 가입자에게 돌려드리는 제도입니다.

 



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료 과오납 환급금 등 공단 소관 4종의 미환급금 정보와 행정안전부 정부24 포털의 ‘미환급금 찾아주기’를 연계한 통합서비스를 이용할수 있습니다. 

 

건강보험료 환급

 

이 서비스를 통해 국민들은 각종 미지급 환급금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조회 및 신청할 수 있으므로 평소에도 이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환급금은 소멸시효 관련법에 의해 보험료를 납부하신 날로부터 건강보험은 3년, 국민연금은 5년 이내에 신청하지 않으면 돌려받을 수 있는 소중한 권리가 소멸되니, 소액이라도 꼭 찾아가시기 바랍니다. 이를 통해 건강보험과 관련된 여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인터넷을 통한 신청이 가능한 채널은 아래와 같습니다.

건강보험료 환급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www.nhis.or.kr](http://www.nhis.or.kr/)): 건강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인터넷을 통해 건강보험료를 납부할 수 있습니다.

 

② 사회보험 통합징수포털 ([si4n.nhis.or.kr](http://si4n.nhis.or.kr/)):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의 납부, 조회, 자료조회 등을 할 수 있습니다.

 

③ 정부24 ([www.minwon.go.kr](http://www.minwon.go.kr/)):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국민건강보험의 각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④ 금융결제원 내 계좌 한눈에 ([www.payinfo.or.kr](http://www.payinfo.or.kr/)): 건강보험료, 국민연금, 고용보험 등을 납부한 내역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⑤ 금융감독원 파인 ([fine.fss.or.kr](http://fine.fss.or.kr/)): 고용보험, 국민건강보험, 국민연금, 산재보험 등을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⑥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www.4insure.or.kr](http://www.4insure.or.kr/)):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의 이력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⑦ 국민연금공단 ([www.nps.or.kr](http://www.nps.or.kr/)): 국민연금의 가입, 납부, 적용 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⑧ 근로복지공단 ([www.kcomwel.or.kr](http://www.kcomwel.or.kr/)): 근로자의 사회보험 가입, 급여지급, 상담 등을 지원합니다.

 

 

건강보험료 미환급금 찾기는 굉장히 중요합니다. 건강보험료 미환급금 찾기를 통해 국세미환급금, 지방세 환급금, 보관금 및 송달료, 건강보험 미환급금, 국민연금보험료 과오납금, 고용/산재보험료 과오납금, 유료방송 미환급금, 통신 미환급금 등 서비스 가능한 미환급금 종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료 환급



찾기 방법은 간단합니다. 먼저, 정부24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그 다음, 서비스 -> 행정정보공동이용(e하나로민원) 확인 -> 왼쪽의 미환급금 찾기 -> 하단에 미환급금찾기 누르기를 차례로 클릭합니다. 이후, 통합조회, 유무확인 결과, 상세내역 조회, 환급신청, 환급신청 완료의 순서로 진행하며, 상세내역 조회를 위해서는 공인인증서 확인이 필요합니다.

 


더불어, 이용문의에는 행정정보공동이용센터 (1600-8200)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의시간은 월~금, 09:00~18:00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건강보험료 미환급금 찾기를 통해 자신의 미환급금을 찾아보세요!

 

건강보험료 환급

댓글